화물차 운송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고 중 하나는 적재물이 도로에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2차 피해입니다. 적재물 추락방지 예방에 실패하여 발생하는 사고는 단순한 물적 피해를 넘어서 인명사고와 법적 책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, 보험 적용 여부에 따라 운전자가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실제 사고 사례 2건과 함께, 책임보험의 커버 범위, 추천 보험 형태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실제 사례①: 1톤트럭 적재함 덮개 미고정으로 보도 침입 사고
2023년 6월, 부산 해운대에서 1톤 화물차가 운행 중 덮개 고정 미비로 적재물이 튕겨 나가 인도 위 주차 차량을 파손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당시 차량 운전자는 적재함 고정줄이 느슨하게 고정된 상태였으며, 급정거 시 고정불량 화물이 앞으로 튕겨 나가면서 보행자 피해는 없었지만 상대방 차량과 오토바이에 손해가 발생했습니다.
▶ 보험 처리: 대물책임보험으로 처리되었지만, 화물차 보험 보장 한도가 낮아 운전자 자비 부담 발생
실제 사례②: 고속도로 적재물 낙하 → 후속 차량 연쇄 추돌
2022년 11월, 경부고속도로에서 2.5톤 탑차 운행 중 고정되지 않은 철제 구조물이 추락하여 뒤따르던 SUV 차량이 급정거, 3중 추돌 사고로 이어졌습니다. 사고 직후 블랙박스 영상이 온라인에 퍼지면서 “기본도 안 지킨 화물차”라는 비난이 이어졌으며, 운전자는 형사입건과 별도로 민사소송도 진행되었습니다.
▶ 보험 처리: 적재물 낙하로 인한 타차량 피해는 책임보험으로 배상했지만 하지만 운전자의 형사적 책임은 운전자보험으로 일부 커버
적재물 사고 시, 어떤 보험이 적용될까?
보험 종류 | 적용 범위 | 설명 |
대인/대물책임보험 | 타인의 인명·재산 피해 | 기본 가입 필수 항목, 한도 초과 주의 |
적재물배상책임보험 | 화물 낙하로 인한 손해 (제3자 피해) | 가입자 많지 않음, 고위험 적재물 운송 시 필수 |
적하보험 | 운송 중 파손된 화물 보상 (자신의 화물) | 운송사·화주 간 계약에 따라 달라짐 |
운전자보험 | 형사합의금, 변호사 선임비 등 | 형사책임 발생 시 보조 역할 |
📌 특히 적하보험은 자신의 물건 보호, 배상책임보험은 타인의 피해 보호라는 점에서 용도가 완전히 다릅니다.
적재물 추락 사고, 방지 방법은?
- 슬라이딩바/가로바 설치: 내부 화물 이동 방지
- 라쳇 스트랩(캣타이) 사용: 강한 장력으로 고정
- 안티슬립 소재 바닥 적용: 적재공간 내 고정력이 강한 바닥 소재 적용
- 특장차 옵션 적용: 윙바디 내부 고정 레일(이트랙), 내장탑 고정걸이 등 특장구조 활용
👉 실제로 사고를 겪은 운전자 후기 중 다수는 사고가 나서 처리하는 비용보다 화물차를 출고할 때부터 옵션을 추가하는 비용이 더 싸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
결론: 적재물 추락방지, 보험과 장비를 모두 갖춰야 예방할 수 있다
적재물 사고는 순식간에 발생하며, 단 한 번의 실수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. 법적 책임과 운전자 안전을 모두 고려했을 때, 특장차 고정장비와 적재물 관련 보험을 동시에 갖추는 것이 최선의 전략입니다.
꽉 들어찬 화물차가 지긋지긋하다면 넉넉한 롱바디는 어떠신가요?
특장차 적재함연장으로 적재공간을 넓혀보세요
내장탑, 윙바디, 적재함연장 구조는 각각 어떻게 다를까요?
비교 영상에서 구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1톤화물차 적재 시 화물 높이 기준은 따로 있나요?
블로그에서 하이탑 제작 가이드라인을 확인해보세요
봉고LPG 차량도 적재함 연장이 가능한가요?
지금 바로 상담사가 친절하게 안내해드립니다
'화물정보 모아모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톤트럭 정기검사 불합격 사례, 검사 탈락 사유 10가지 (0) | 2025.04.21 |
---|---|
1톤트럭 언더코팅 꼭 해야하나요? 코팅 종류별 부식 성능 차이 (0) | 2025.04.20 |
1톤트럭 헤드라이트 습기 제거방법과 실리콘 방수작업 총정리 (0) | 2025.04.18 |
포터 LT2 출시 임박? 제원·가격·연료 전격 분석 (0) | 2025.04.17 |
특장차 보험, 실손 보장 가능할까요? 가입 전 꼭 알아야 할 4가지 (0) | 2025.04.16 |